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테이블 설계
- 자바문제
- 숫자야구
- 서블릿
- 서블릿 예제
- 자바공부
- Servlet
- DA#
- 자바 암호화
- File
- java
- 스택
- 설치방법
- 서블릿 값 가져오기
- 자바설치
- 예제
- 입출력
- 조건문
- OOP
- 컨텍스트 초기화 객체
- 객체
- 스트림
- 서블릿 파라미터
- 자바기초
- SQL
- 자바객체
- 자바
- 서블릿 동작방식
- 자바I/O
- 오라클
- Today
- Total
목록전체 글 (71)
다양한 관심 :)
switch문 - switch(int/string 변수 ){ case 값1 : break; } - 조건식의 결과는 정수와 문자열만 (JDK1.7부터 문자열 허용) 허용한다. - 변수가 어떤 값을 갖느냐에 따라 실행문(case)이 선택된다 a = 4; switch (a) { case 1: System.out.println("a가 1인 경우에 하고싶은 것"); break; case 2: System.out.println("a가 2인 경우에 하고싶은것"); break; case 3: System.out.println("a가 3인 경우에 하고싶은것"); break; default: System.out.println("a가 1,2,3이 아닌 경우에 하고싶은것"); } - case는 break 까지만 출력 ( ca..
조건문 if문 switch문 if(조건식){ true } false : 조건식의 결과가 true이면 블럭안의 문장을 수행한다. → 만일 조건식이 참이면 괄호의 문장을 수행 else if(조건식){ true } false : 다수의 조건이 필요할 때 if 뒤에 추가한다. → 조건식이 거짓이면 수행 else{ } : 결과가 true인 조건식이 하나도 없는 경우를 위해 추가한다. → 조건식이 모두 다 거짓인 경우 수행 int a = 1; if (a == 1) { System.out.println("조건식의 연산결과가 true이면 \t수행된다."); } if (a == 0) { System.out.println("조건식의 연산결과가 false이면 수행되지 않는다."); } // if 문이 수행되지 않고 종료됨 ..
조건식 ? 1 : 2 조건식이 참이면 1의 결과를 나타내고 조건식이 거짓이면 2의 결과를 나타낸다. //삼항연산자 int x = 10; int y = 20; int result = ( x < y) ? x : y ; // 조건식 ? 반환값1 : 반환값2 System.out.println(result); 예제 1. 주민등록번호 뒷자리의 첫번째 숫자가 1이면 남자, 2면 여자인 결과를 출력하시오, int reg = 1; String regno = (reg==1) ? "남자" : "여자"; System.out.println(regno); 예제 2. 간단한 계산기 만들기 // 두개의 숫자와 연산자를 입력받아 연산결과를 알려주는 프로그램을 만들어주세요. //+-*/ // 조건식 ? 참 : 거짓 ( equals 문자..
형변환 (=타입변환) 다른 타입의 값을 저장하기 위해서는 값의 타입을 변경해줘야 하는데 이를 형변환(type casting)이라 한다. 타입변환에는 자동(묵시적)타입변환, 강제(명시적)타입변환이 있다. 1.자동 타입변환 프로그램 실행 도중 자동적으로 타입변환이 일어나는것 작은크기를 가지는 타입이 큰 크기를 가지는 타입에 저장될 때 발생 큰크기 타입과 작은크기의 타입의 구분은 사용하는 메모리 크기 크기별로 타입 정리 ( 주의 : float는 표현할 수 있는 값의 크기가 큼) byte(1) < short(2) 자동적으로 타입변환 int small = 10; long big = 10L; big = small; //표현범위가 작은쪽에서 큰쪽으로의 형변환은 생략가능 int Value = 100; double dv..
1. 변수 : 하나의 값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의 공간을 의미 프로그램은 작업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필요에 따라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, 값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공간 다양한 타입의 값을 저장할 수 없고, 한가지 타입의 값만 저장할 수 있다. 데이터의 종류 : 정수, 실수, 문자, 논리 (정수 : 10,-5 / 실수 : 3.15, -1.5 / 문자 : 'a', '3' / 논리 : true, false ) -> 프로그래밍에서는 데이터를 사용하기 위해 종류별로 이름을 붙여놓았다. (자료형/Data Type) 기본 데이터 타입 - 정수 : byte(1), short(2), *int(4), long(8) - 실수 : float(4), *double(8) - 문자 : char(2) - 논리 : boolean(..
SQL 1. 데이터베이스 계정 및 권한 설정 계정의 종류 : 관리자, 사용자 계정 계정의 생성 : Create user 명령어로 생성, 비빌번호 변경은 Alter user 1) table space 생성 SELECT * FROM DBA_DATA_FILES; CREATE TABLESPACE TS_DBSQLDATAFILE 'C:\oraclexe\app\oracle\oradata\XE\TS_DBSQL.DBF' SIZE 100M AUTOEXTEND ON; 2) 사용자 추가 create user (사용할 이름) identified by (비밀번호) default tablespace TS_DBSQL --공간을 제한하지 않는다. temporary tablespace temp quota unlimited on TS_D..

JOIN 데이터결합 (JOIN) WHERE + JOIN은 SELECT SQL의 모든 것 이라 할 수 있다 (그만큼 중요) JOIN 은 다른 테이블과 연결하여 데이터를 확장하는 문법 (=컬럼을 확장) ** 행을 확장 - 집합연산자(UNION, INTERSECT, MINUS) JOIN 문법 구분 ANSI(미국 국립표준협회) - SQL : RDBMS에서 사용하는 SQL표준 (표준을 잘 지킨 모든 RDBMS-MYSQL, MSSQL, POSTGRESQL...에서 실행가능) 2. ORACLE - SQL : ORACLE사만의 고유문법 (직관적) JOIN의 종류 NATURAL JOIN : 조인하고자 하는 테이블의 컬럼명이 같은 컬럼끼리 연결, 컬럼의 값이 같은 행들끼리 연결 예) SELECT * FROM emp e, ..